위 글에 들어있는 정보들 중 정확한 사실이 아닌 필자 개인적인 생각이나 견해가 다 수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맛있는 칵테일을 만드는 바텐더와
좋은 서비스를 하는 BAR가 점점 사라지는 이유
1. 비즈니스적 관점
경기 불황 - 부동산 침체, 공공요금의 대폭상승, 국제 수입물품의 가격상승, 물가 상승, 고용시장 축소,
경제 성장 둔화 - 중국과 미국의 대립, 러시아 전쟁, 팬데믹사태, 노동임금의 가파른 상승,
- 현재 칵테일의 가격 문제는 재료 비용상승, 운영 비용상승, 시장의 변화에 따른 수요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 가게 운영을 위한 유지비용 <임대료, 전기세 등>의 상승
- 칵테일 제조와 서비스에 필요한 자재비용 <주류 및 소모품>와 물가의 상승
- 대출금리의 상승, 물가상승으로 인테리어 비용, 주류가격 상승, 등 투자비용의 상승과 개점을 위한 자금을 마련하기 힘든 환경의 영향으로 새로운 가게를 개점하기 어렵다.
- 다양한 술을 가지고 고객에게 맞춤 서비스를 하는 바의 비지니스 형태에서 초기의 큰 투자비용이 필요하고 상품의 회전율이 문제가 될 리스크를 가질 수 있다.
- 심야 택시요금의 인상과 팬데믹 사태를 겪은 사람들은 늦은 밤까지 교류하는 유동인구 자체가 줄어 들었다
- 고용시장에서 인건비의 상승, 그리고 심야 이동 비용의 상승으로 가게의 지불 비용상승으로 연결되고 있다.
- 현재 시장에서 주요한 고객층인 20대에서 40대의 젊은 사람들이 고물가, 고환율, 고금리, 때문에 대부분 생활에 여유가 없다
2. 문화적인 관점
- 사람들은 생존을 위해 너무 많은 에너지를 회사에서 쓰다 보니 정작 자신의 일상생활에서 사용할 에너지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취미나 문화에 시간과 비용 그리고 에너지를 쓸 여유가 많지 않다
- 사회가 힘든만큼 개인의 생존이 중요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가격에 민감해진다 하지만 상품의 가격이 낮아지는 만큼 상품의 품질이 떨어지기 때문에 악순환이 반복된다.
- 모두가 가격과 효율성을 찾기 때문에 상품은 비슷한 품질의 규격화가 진행된다. 그렇게 상품과 함께 계급화가 만들어진다.
- 정보통신의 발달로 개인의 취향에 맞는 것만 보여주는 미디어와 자신이 접하는 않는 정보 외에 정보와 멀어지게 되면서 가치관의 확증 편향화가 심해진 개인이 많아진 시대이기 때문에 타인을 이해하기 힘들어진 만큼 개개인의 목소리가 중요해졌다.
- 사람마다 추구하는 것이 다양해지면서 개개인을 모두 맞추는 서비스를 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며 다양성을 위해 상품의 종류를 늘리게 되면 운영 유지를 위한 가격 상승과 회전율에 심각한 리스크를 가지게 된다.
'본질에 대한 탐구 기록 - Disciplin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존재의 의미 (0) | 2023.07.20 |
---|---|
요식업 비지니스의 구조 (0) | 2023.07.18 |
인공지능과 인간의 미래 (0) | 2023.07.14 |
상품에 대한 고찰 (0) | 2023.07.11 |
각자의 의미 (0) | 2023.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