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회와 酒류문화 - Picaresque

최첨단 시대의 한국사회 뒷모습 - 3

by 주류탐험가 - Moonshine walker 2023. 7. 7.

2023.07.07 - [한국사회와 주류문화] - 최첨단 시대의 한국사회 뒷모습 - 1

 

최첨단 시대의 한국사회 뒷모습 - 1

위 글에 들어있는 정보들 중 정확한 사실이 아닌 필자 개인적인 생각이나 견해가 다 수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피로사회가 계속되면서 우리의 일상 또한 바뀐다. 현대사회는 굉장히 고 차

mainstream-exploorer.tistory.com

2023.07.07 - [한국사회와 주류문화] - 최첨단 시대의 한국사회 뒷모습 - 2

 

최첨단 시대의 한국사회 뒷모습 - 2

2023.07.07 - [한국사회와 주류문화] - 최첨단 시대의 한국사회 뒷모습 - 1 최첨단 시대의 한국사회 뒷모습 - 1 위 글에 들어있는 정보들 중 정확한 사실이 아닌 필자 개인적인 생각이나 견해가 다 수

mainstream-exploorer.tistory.com

위 글에 들어있는 정보들 중 정확한 사실이 아닌 필자 개인적인 생각이나 견해가 다 수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자극과 본능에 이끌리는 세상

사람들은 음식으로 육체의 허기를 채웠지만 채워지지 않는 마음의 갈증을 해소할 수 없어 자아를 버리고 본능과 감정에 의지하여 생활을 이어나가게 변해 간다

본능과 감정에 의지하게 되는 이유는 자극적인 것들은 몸의 무의식이 먼저 반응한다. 사람들은 생각을 하지 않고 의사에 관계없이 반응할 정도로 여유가 없는 것이다. 

수준이 높은 고 차원적인 것들을 즐기려면 그것에 시간과 에너지를 들여야 하는데 그러기에는 또 여유가 없는 것이다. 

대표적인것들이 예술과 예능 같은 것들일 것이다. 
예능은 자극적이며 생각없이 즐기는 부분이 상당수를 차지한다. 반면 예술은 즐기기 위한 시간과 에너지를 오래 써야 하기 때문에 효율적이지 않고 어렵다고 생각하고 도전하지 않는다.

비싸지는 문화생활과 저렴해지는 감수성
가성비와 가난

생존의 대한 공포 때문에 무엇을 해도 리스크를 두려워 하며 새로움을 두려워한다.

생존과 이득이 위협받으면서 대다수의 사람들이 기술과 지식에 눈이 멀고 본능과 감정에 휩쓸려 인간적인 삶의 대한 소비를 점점 줄이고 있다. 

당장 생존에 필요하지 않은것을 배재하다 보니 점점 감성과 문화생활에 관련된 제품들은 품질이 낮아지고 품질이 낮아진 제품을 알아볼 수 있는 안목 또한 없어진다. 

점점 획일화 되어가고 자극적인 가벼운 상품이 
작품을 빙자한 모방적 상품들만 많아지게 된다.

​가성비와 효율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제품.. 
효율성의 기준이 가격만이 될 수 있는 것일까..

돈이 없는 게 가난이 아니다. 
가난이란 여러 방면에서 작아지는 것..

개인이 할 수 있거나 해본 일이 적어지면서 실패를 배우지 못했고 방황하는 것을 배우지 못하게 되는 경우 생각도, 사람을 대하는 태도도, 가치관도 작아져서 획일화되고 갇히는 것이 가난이라고 생각한다

​현재를 유지하기도 힘든상황에서의 선택지가 줄어들고, 반복되는 하루 속의 막연함 기다림과 인생역전의 꿈 그들에게 무엇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 물어보면 할 수 있는 것들이 많지 않다 이걸 이해 못 하는 사람들도 많다.

아무도 먹어주지 않는다는 이유로 요리하지 않다보면 혼자만의 식사도 거칠어진다. 당신의 우주는 그런 식으로 비좁아져 간다.

<입에 들어가면 다 똑같다> 라는 말을 듣고 자랐다 그래서 비싼 음식을 먹는 건 허세라고 생각했다 문제는 그런 허세꾼이 되지 않으려고 애쓰다 보니 항상 아는 맛만 먹게 되는 거였다

해봤자 별게 없을 거라 믿어버리면 영원히 모르게 되고 이로써 경험할 여지가 있는 세상의 많은 부분이 사라지고 만다 <그걸 먹을 돈이면 국밥을 몇 그릇 더 사 먹지> 같은 언어가 사고를 지배하게 된다 

​뭐라도 먹고 싶었던 날에 먹었던 건 결국 라면이었고 어디라도 나가고 싶었던 날에는 다음날 아침까지 집이었고 누구라도 만나고 싶었던 날에는 아무도 만날 수 없었다.

그러나 세상에는 12색 크레파스만으로는 칠하기 버거운 풍경이 있는 법이다

기계적으로 감정을 배재하고 이득과 효율만 생각하지 말고 본능과 감정에만 의지하는 짐승처럼 살지 않고 아름다운 일상과 함께 타인의 존중하며 인간답게 사는 사회가 되었으면 한다.